**변수선언하기**
public class VariableDeclaratio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System.out.println("변수선언 첫번째 방법");
int num;
num = 100;
System.out.println("num="+num);
System.out.println("변수선언 두번째 : 선언과동시에 초기화");
int initnum = 200;
System.out.println("initnum="+initnum);
System.out.println("변수선언 세번째 : 동시에 같은타입 여러개 선언");
int fnum, snum=1000 ,cnum;
fnum = snum;
System.out.println("fnum="+fnum);
cnum = 500;
System.out.println("fnum="+fnum+",snum="+snum+",cnum="+cnum);
}
}
***정수놈들***
public class JungSy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//[규칙1]. 수치형의 정수형의 대표형은 int형
byte b1; //변수선언
b1=127; // 가능함
System.out.println("b1="+b1);
//b1=128; 이건 그릇보다 넘치는 내용물이라 불가능함
//하지만 쑤셔넣으면
b1=(byte)128;
System.out.println("b1="+b1); // 가능해짐
//[규칙2] int형보다 작은것들의 연산결과는 int (예외)
byte b2=10, b3=20;
// byte b4=b2+b3; 이거 오류뜸 왜? byte들끼리 연산결과는 int니까! 따라서
//방법1. 연산결과를 int로 바꾸기
int num1=b2+b3;
System.out.println("num1="+num1);
//방법2 연산결과를 byet로 쑤셔넣기
byte b4 = (byte)(b2+b3);
System.out.println("b4="+b4);
short s1=1000, s2=2000;
// short s3=s1+s2; 이거도 오류뜨겠지 마찬가지 이유로 따라서
//방법1. 연산결과를 int로 바꾸기 (위에 int 선언한거 있으니까 그대로 써도 됨
num1=s1+s2;
System.out.println("num1="+num1);
//방법2 연산결과를 short로 쑤셔넣기
short s3=(short)(s1+s2);
System.out.println("s3="+s3);
//[규칙3] int 보다 큰것들의 연산은 큰놈형을 따라간다
int num2=100, num3=200;
long l1=1000, l2=2000;
//int num4= num2+l1 요건 당연히 안돼안돼
long l3 = num2+l1; // 방법1
System.out.println("l3="+l3);
int num4=(int)(num2+l1 ); //방법2
System.out.println("num4="+num4);
num4=num2+(int)(l1); // 방법3
System.out.println("num4="+num4);
//퀴즈!!
//1]국어,영어 ,수학 점수 및 점수 총합을 저장할 수 있는
// 변수 4개를 선언하여라(int형 사용)
int kor,eng,math,total;
//2]국어에는 89,영어는 99,수학은 78을 저장하여라
kor = 89;
eng=99;
math=78;
//3]국영수의 총합을 구해서 1]번에서 선언한 총합 저장용 변수에 저장하여라.
total=kor+eng+math;
//4]각 국영수 점수 및 총합을 출력하여라
System.out.println("국어:"+kor) ;
System.out.println("영어:"+eng);
System.out.println("수학:"+math);
System.out.println("총합:"+total);
}
}
***실수놈들***
public class SilsuType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
{
//실수형에서 기본값은 double
//[규칙1]정수형과 실수형을 연산시 연산결과는 실수형 (실수형이 정수형보다 걍 큰 그릇임)
long l1 = 100;
float f1= 200;
// long l2=l1+f1; 안됨 둘이 더하면 실수인 float형이 되야함
//방법1
float f2=l1+f1;
System.out.println("f2="+f2);
//방법2
long l2= (long)(l1+f1);
System.out.println("l2="+l2);
//방법3
l2=l1+(long)(f1);
System.out.println("l2="+l2);
// 소수점이하 제거하려면 int형으로 변환하면 됨
System.out.println("f2="+(int)f2);
/* 퀴즈!!! 반지름이 10인 원의 면적을 구해라
단,면적을 저장하는 변수의 타입을 3가지 형태(int/float/double)의
자료형에 저장하여 출력하여라 그리고 소수점을 제거하여라
원의 면적:반지름*반지름*3.14
단,아래의 변수 radius 와 pi를 사용해서 구해라*/
int radius =10;
double pi=3.14;
//면적을 저장하는 변수
int iarea;
float farea;
double darea;
//iarea = radius * radius*(int)pi;//300
// 헷깔릴땐 그릇만 보자 [int형 * int형 *double형]=원래 double형이지!
iarea = (int)(radius*radius*pi); // 전체를 int형으로 쑤셔넣기
System.out.println("iarea="+iarea);
farea = (float)(radius*radius*pi); // 전체를 float형으로 쑤셔넣기
System.out.println("farea="+(int)farea);
darea = radius*radius*pi; //이미 doble형이니까 바꿀필요 없음
System.out.println("darea="+(int)darea);
}
}
으아아아아아
내일 기억 할 수 있을 지 모르겠는데
너무졸려... 이러다 죽을 것 같아,,, 으아아아아아
'학원 > JAV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9.19 4-2일 차 IfStatement02(If ~else) (0) | 2022.09.19 |
---|---|
9.19 4-1일 차 controlstatement 들어가기 ( if Statement ) (1) | 2022.09.19 |
9/16 3-2일차 연산자(산술,비교,논리,할당,증감) (0) | 2022.09.17 |
9/16 3-1일차(참조형,Typecasting,EscapeChar) (0) | 2022.09.17 |
9.14 1일차 수업 (0) | 2022.09.14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