기본적으로요청하는곳이 클라이언트
요청응답하는곳이 서버
서버3대장에는
장고/플라스크/fastAPI
프로젝트는 기본
프런트는 플라스크로
백앤드는 restAPI로
장고 : 프레임워크(일정한 틀이 있음)
플라스크 : 라이브러리(필요한거 그때그때 가져와서 짜깁기) ---차이점은 면접질문 할 수도 있으니 참고
fastAPI : 요새나오아이 빨라요..
장고랑 플라스크비교 위주로
장고 : 일정한 틀이 있음, 처음에 쓰기 어려우나 틀만 익히면 사용하기 쉽다
플라스크: 자유도가 높음, 허나 틀이 없기때문에 처음부터 끝까지 본인이 만들어야 함
플라스크
Jinja2 템플릿 엔진에 기반을 둠 (자바의 jsp같은거) +Werkzeug
개발환경구축(cmd관리자권한으로 실행하기 )
가상환경만들기
>cd C:\Users\Kosmo\anaconda3\Scripts
:파이썬 버전 확인
>python --version
:가상환경 생성
>conda create -n[ame] 가상환경명 설치할 패키지
ex)conda create -n crawling python=3.5
Flask 템플릿파일은 .html을 사용하고 템플릿 엔진은 jinja2
.html파일은 기본적으로 app.py가 실행되는 같은 위치에 templates 폴더에서 찾는다.
(단 app =Flask(__name__,template_folder='임의의 폴더명')코드로 templates폴더명 변경가능)
템플릿 파일인 .html파일을 templates폴더에 저장
======02/10 app1. app2 파일참고
get,post 요청 보내고 받기
'학원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1/30 [PYTHON] NumberType (0) | 2023.01.30 |
---|---|
01/30 [PYTHON] variable2 (0) | 2023.01.30 |
01/27 [PYTHON] variable1 (0) | 2023.01.29 |
01/27 [PYTHON] 환경설정 (0) | 2023.01.2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