[변수 선언 방법]
첫 날은 간단하게 변수 선언하는 방법 4가지와 변수 삭제하는 법을 배우고 끝
여기선 주석달 때 #를 이용한다.
System.out.println()이나 console.log() 같은 아이는 print() 를 이용 함
아무튼 조금 다른것들을 얼른 익히도록 해보자
변수 선언 방법1. 변수명 = 데이터
a = 10
print(a)
print(type(a)) # type(변수 혹은 값):자료형 반환<class 'int'>
print(a,type(a),sep=',') #한 줄로 출력하는 방법!
파이선은 기본적으로 단위가 class라고 한다!!
변수 선언 방법2. 변수명1,변수명2,변수명3,, = 반복가능한 객체 (이터레이터)
이터레이터(이건 나중에 천천히 배울 거)의 요소를 여러 변수에 나눠 담는 것을 '언패딩' 또는 '구조분해'라고 함
변수명1,변수명2,변수명3 = 데이터1,데이터2,데이터3 혹은 (데이터1,데이터2,데이터3)
a,b,c = '파이썬',"10",20 #('파이썬',"10",20) 원래는 이렇게 써야 한대
print('a의값:%s,a의 자료형:%s' %(a,type(a)))
print('b의값:%s,b의 자료형:%s' %(b,type(b)))
print('c의값:%s,c의 자료형:%s' %(c,type(c)))
변수 선언 방법3. 변수명 = 반복가능한 객체 (이터레이터)
여러 개의 데이터를 이터레이터를 이용해 하나의 변수에 묶어 담는 것을 '패킹' 이라고 함
변수명 = 데이터1,데이터2,데이터3 혹은 (데이터1,데이터2,데이터3)
d=10,'20','파이썬' # (10,'20','파이썬')즉 int,str,str 객체를 튜플(괄호를 의미 함)로 묶어서 변수 d에 저장
print('d의값:%s,d의 자료형:%s' %(d,type(d)))
변수 선언 방법4. 변수명1 = None
z # NameError : 변수선언안되서 에러남
z = None
print('z의값:%s,z의 자료형:%s' %(z,type(z)))
오호 NoneType이라는게 여긴 있구나 이게 null과 같은 의미겠지
++ 치환하기
자바에서는 제 3의변수를 이용해서 값을 변수에 담고 옮기고 했는데
파이선은 걍 바로 바꾸면 됨... 와우!
x,y = 10,20
print('x=',x,'y=',y,sep='')
y,x = x,y
print('x=',x,'y=',y,sep='')
++ 당연한 것 이지만 키워드들은 변수로 사용 할 수 없다!
import keyword
print(keyword.kwlist) #키워드들이 나옴
출력하면 나오는 키워드들임 많은거 같지만 생각보다 적음 오오오!
['False', 'None', 'True', 'and', 'as', 'assert', 'async', 'await', 'break', 'class', 'continue',
'def', 'del', 'elif', 'else', 'except', 'finally', 'for', 'from', 'global', 'if', 'import', 'in', 'is', 'lambda',
'nonlocal', 'not', 'or', 'pass', 'raise', 'return', 'try', 'while', 'with', 'yield']
#elif = 10 # 키워드를 변수로 사용 할 수 없음 SyntaxError: invalid syntax
++ 변수 삭제하기
del x #혹은 del(x)
#print(x) #변수가 이미 삭제 됨 ! NameError: name 'x' is not defined
'학원 > 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02.10 [Flastk] 시작 (0) | 2023.02.10 |
---|---|
01/30 [PYTHON] NumberType (0) | 2023.01.30 |
01/30 [PYTHON] variable2 (0) | 2023.01.30 |
01/27 [PYTHON] 환경설정 (0) | 2023.01.29 |